훈민정음 언해 어휘 정리

훈민정음 언해본

불변사

世솅〮宗조ᇰ 세종(世宗)
御ᅌᅥᆼ〮製졩〮 어제(御製)
訓훈〮民민正져ᇰ〮音ᅙᅳᆷ 훈민정음(訓民正音)
글〮
ᄊᆞ=ᄉᆞ (원시 대명사) =것
씨〮 ᄊᆞ + -ᅟᅵ
님〯금〮 임금
百ᄇᆡᆨ〮姓셔ᇰ〮 백성(百姓)
소리〮 소리
나라〮(ᄒᅠ)
입〮겾〮[서강대학교 본]
입〮겾〯[희방사 본]
말〯ᄊᆞᆷ〮 말(言)
겿〮
中듀ᇰ國귁〮 중국(中國)
아〯모〮 아무(처소 부정칭 지시대명사)
그ᅌᅦ 거기, 그곳(그ᅌᅥ긔. 처소 중칭 지시대명사)
皇ᅘᅪᇰ帝뎨〮 황제(皇帝)
우〮리〮 우리(의)
常쌰ᇰ談땀 상담(常談), 예삿말
江가ᇰ南남 강남(江南). 난징 쪽
이〮 이것 할 때 이
뎌〮 저것 할 때 저
글〮왈〮 글월
아니〮- 아니(하다)
서르 서로
젼ᄎᆞ〮 이유
바〮
3인칭 대명사.
ᄠᅳᆮ〮
놈〮
말〯
몯〯 못 (하다)
내〮 내(가)
새〮 새(new)
스〮믈〮 20
여듧〮 8
스〮믈〮여듧〮 28
사〯ᄅᆞᆷ〮 사람
날〮 날(day)
ᄯᆞᄅᆞᆷ 따름

조사

-이〮
國귁〮之징語ᅌᅥᆼ〯音ᅙᅳᆷ이〮
말〯ᄊᆞ미〮
愚ᅌᅮᆼ民민이〮
百ᄇᆡᆨ〮姓셔ᇰ〮이〮
배〮
而ᅀᅵᆼ終쥬ᇰ不부ᇙ〮得득〮伸신其끵情쪙者쟝〯ᅟᅵ
노〮미〮
-ᄋᆞᆫ〮
民민ᄋᆞᆫ〮
國귁〮ᄋᆞᆫ〮
中듀ᇰ國귁〮ᄋᆞᆫ〮
流류ᇢ通토ᇰᄋᆞᆫ〮
欲욕〮ᄋᆞᆫ〮
伸신ᄋᆞᆫ〮
-은〮
訓훈〮은〮
音ᅙᅳᆷ은〮
訓훈〮民민正져ᇰ〮音ᅙᅳᆷ은〮
文문은〮
不부ᇙ〮은〮
言ᅌᅥᆫ은〮
終쥬ᇰ은〮
得득〮은〮
情쪄ᇰ은〮
-ᄂᆞᆫ〮
製졩〮ᄂᆞᆫ〮
之지ᄂᆞᆫ〮
異잉〮ᄂᆞᆫ〮
乎ᅘᅩᆼᄂᆞᆫ〮
故공〮ᄂᆞᆫ〮
所송〯ᄂᆞᆫ〮
而ᅀᅵᆼᄂᆞᆫ〮
其끵ᄂᆞᆫ〮
者쟝〯ᄂᆞᆫ〮
矣ᅌᅴᆼ〯ᄂᆞᆫ〮
-는〮
與영〯는〮
愚ᅌᅮᆼ는〮
有ᅌᅮᇢ〯는〮
-ᄉᅠ
나랏〮
-애
常쌰ᇰ談땀애〮
-에
아〯모〮그ᅌᅦ
겨〮체
中듀ᇰ國귁〮에〮
-로
與영〯文문字ᄍᆞᆼ〮로〮
故공〮로〮
젼ᄎᆞ〮로〮
새〮로〮
欲욕〮使ᄉᆞᆼ〯人ᅀᅵᆫ人ᅀᅵᆫᄋᆞ〮로〮
날〮로〮
-와
이〮와〮
뎌〮와〮
-마다
사〯ᄅᆞᆷ마〯다〮
-긔
便뼌安ᅙᅡᆫ킈〮

동사

ᄀᆞᄅᆞ치다
ᄀᆞᄅᆞ칠〮 가르칠
ᄀᆞᄅᆞ치〮시논〮 가르치시는
겨시다
겨〯신
너기다
너기〮실
너겨〮
니르다
니를
니르고〮져〮
닉다
니길〮
니겨〮
다ᄅᆞ다(?)
다ᄅᆞᆯ
달아〮
ᄆᆞᆾ다
ᄆᆞᄎᆞ〮미라〮
ᄆᆞᆺᄂᆞᆫ
ᄆᆞᄎᆞᆷ〮내〯
ᄆᆡᇰᄀᆞᆯ다
ᄆᆡᇰᄀᆞ〮ᄅᆞ〮실
ᄆᆡᇰᄀᆞ〮노니〮
ᄡᅳ다
ᄡᅳ〮ᄂᆞᆫ
ᄡᅳᆯ〮
ᄡᅮ〮메〮
ᄉᆞᄆᆞᆾ다
ᄉᆞᄆᆞᄎᆞᆯ〮
ᄉᆞᄆᆞᆺ디〮
쉬ᇦ다
쉬〯ᄫᅳᆯ
수〯ᄫᅵ〮
싣다(?)
시를〮
시러〮
어리다
어릴〮
어린〮
어엿브다
어〯엿비〮
-이〮라〮
씨〮니〮 ᄊᆞ + 이니
씨〮오〮 ᄊᆞ + 이오
씨〮라〮
江가ᇰ南남이〮라〮
젼ᄎᆡ〮라〮
제〯라〮
ᄯᆞᄅᆞ미〮라〮
ᄯᆞᄅᆞ미〮니라〮
百ᄇᆡᆨ〮姓셔ᇰ〮이〮오〮
字ᄍᆞᆼ〮ᅟᅵ라〮
多당矣ᅌᅴᆼ〯라〮
便뼌於ᅙᅥᆼ日ᅀᅵᇙ〮用요ᇰ〮耳ᅀᅵᆼ〯니라〮
그〮리라〮 글이다
소리〮니〮 소리〮 + 이니
소리〮라〮 소리〮 + 이라
나라〮히라〮
입〮겨〮지라〮
말〯ᄊᆞ〮미라〮
나라〮히니〮
글〮와〮리라〮
배〮라〮
ᄆᆞᄎᆞ〮미라〮
ᄠᅳ〮디라〮
노〮미라〮
ᄠᅳ〮디〮시니〮라〮
이〮라〮
새〮라〮
스〮믈〮여들〮비라〮
마〯리라〮
사〯ᄅᆞ〮미라〮
나〮리라〮
이러ᄒᆞ다
이〮런
잇다
이실
이셔〮도〮
지ᇫ다
지ᅀᅳᆯ〮 지을
지〯ᅀᅳ샨〮 지으신
펴다
펴디〮
ᄒᆞ다
ᄒᆞ〮논
ᄒᆞ〮ᄂᆞ〮니라〮
ᄒᆞ〮ᄂᆞᆫ
ᄒᆞ고〮져〮
ᄒᆞᆯ
호ᇙ〮
ᄒᆡ〯ᅇᅧ〮
便뼌安ᅙᅡᆫᄒᆞᆯ
내〮ᄒᆞ〮ᅀᆞᆸ시〮논
아니〮ᄒᆞ〮논
아니〮ᄒᆞᆯᄊᆡ〮
正져ᇰ〮ᄒᆞᆫ
異잉〮乎ᅘᅩᆼ中듀ᇰ國귁〮ᄒᆞ〮야〮
不부ᇙ〮相샤ᇰ流류ᇢ通토ᇰᄒᆞᆯᄊᆡ〮
有ᅌᅮᇢ〯所송〯欲욕〮言ᅌᅥᆫᄒᆞ〮야도〮
爲윙〮此ᄎᆞᆼ〯憫민〯然ᅀᅧᆫᄒᆞ〮야〮
爲윙〮ᄒᆞ〮야〮
新신制졩〮二ᅀᅵᆼ〮十씹〮八바ᇙ〮字ᄍᆞᆼ〮ᄒᆞ〮노니〮
易잉〮習씹〮ᄒᆞ〮야〮
하다
하니〮라〮
흐르다
흘러〮

기타

따로 명시하지 않는 한에서 이 사이트의 모든 콘텐츠는 다음의 라이선스를 따릅니다: Creative Commons Attribution-ShareAlike 3.0 License